본문 바로가기
수의학/응급수의학

출혈성 위장염 / 결장염

by 청개구리수의사 2022. 9. 29.
반응형

출혈성 위장염

진단

병력-출혈성 위장염은 젊은 성견 연령대의 소형 견종 (푸들, 닥스훈트, 미니쳐 슈나우저)에서 통상적으로 관찰된다. 급성으로 구토, 토혈, 악취성 설사, 혈변, 점액 분변, 이급후증이 나타난다.

신체검사-환자는 침울, 탈수, 뚜렷한 복통을 호소한다. 환자는 다량의 토혈이나 혈변을 한다. 상태는 진행성으로 악화되어 심각한 저혈량성 쇽이 나타날 수 있다.

실험실 평가-때때로 PCV 상승 이외의 특이적인 이상 소견이 나타나지 않으며, 이상소견이 나타날 경우 거의 없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stress leukogram이 나타날 수 있다.

감별진단

급성 파보바이러스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 위장관염

장관계의 기생충 감염

위장관계 궤양

비소 또는 납에 의한 중독증

살모넬라 위장관염

예후

임상증상을 나타내는 시기의 환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회복될 수 있는 것에서 나쁜 것까지의 예후가 다양하다.

치료

보호자에게 진단, 예후, 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Normosol-R 또는 LRS와 같은 평형 전해질 수액을 PCV 50% 미만까지 하강하도록 40-60ml/kg/h IV 투여한다. 만약 환자에게 저혈량성 쇽이 나타난다면 한 시간 동안 60-90ml/kg/h로 투여하고, 수화와 관류에 대하여 재평가한다. 수액치료는 보통 24-48시간 요구된다.

페니실린과 같은 항균제가 추천된다.

스테로이드를 IV 하거나 위장관 궤양이 의심되지 않는 상황에서 환자에게 쇽이 발생하면 pds IV 한다.

DIC가 나타나는지 환자를 세심히 살핀다. DIC 발병 시 헤파린 처리된 신선한 혈장으로 적절히 정맥 투여하여 치료한다.

체액 보정이 이루어진 후 환자가 반복적으로 심한 구토 또는 오심을 호소할 경우 제토제 투여를 고려한다.

토혈 또는 오심의 증상이 나타나면 다음을 투여한다. famotidine, ranitidine, cimetidine, omeprazole, sucralfate

유지용량으로 수액치료를 실시한다. 12-24시간 NPO 금식한다. 12-24시간 경과 후 구토가 없다면 액체성 물질을 급여한다. 환자의 입에 맞는 식이를 24-48시간 후부터 3일간 급여하고, 점차 일반식이로 전환시킨다.

출혈성 위장염에서 혈토와 같은 증상이 보일 수 있다

 

결장염

진단

병력-이급후증, 배변장애를 동반한 소량의 배변으로 그 횟수가 증가함을 보호자가 인지할 수 있다. 점액성 또는 혈액성, 혹은 점액성과 혈액성 양상이 흔히 분변에서 관찰된다. 빈번한 구토와 체중 감소는 드물지만 만성형과 재발성 결장염에서는 나타날 수 있다.

신체검사-환자의 상태는 분변에서 점액성 또는 혈액성 물질이 관찰되는 것 이외에는 정상인 것처럼 보인다. 직장검사는 감별력이 있다. 직장의 불쾌감과 또는 혈변이 발견될 수 있다. 몇몇 환자는 자갈 또는 뼛조각이 직장에서 촉진될 수 있다.

실험실 평가-CBC와 혈액화학검사는 기타 복부의 상태를 제외하기 위해 실시되어야 한다. CBC는 보통 정상이다. 그러나 몇몇 환자는 철 결핍성 빈혈, 호중구 증가증, 호산구증가증, 저단백혈증을 나타낼 것이다. 혈액화학검사는 보통 정상이다. 분변 부유법과 직접 도말에서 기생충이 발견될 수 있다.

복부 방사선-복부 방사선 촬영은 감별진단을 하기 위해 실시된다. 종괴나 장내 이물이 있는지 관찰한다. 결장의 내시경과 생검은 진단에 유용하다.

감별진단

염증(형질구-림프구, 조직구 궤양, 호산구, 육아종 또는 화농 염증)

기생충(개회충, 지알디아, Ancylostoma spp. Entamoeba histolytica)

신생물(양성종양, mast cell tumor, leiomyoma, adenocarcinoma, lymphosarcoma)

비염증성 상태(irritable bowel syndrome, cecal inversion, ileo colic intussusception)

감염(살모넬라, Histoplasma capsulatum, Yersinia enterocolitica, Prototheca spp.)

대사성 이상(요독증, 췌장염, 부신피질 기능저하증, 갑상샘 기능부전)

무분별한 식이섭취

식이성 알레르기 또는 과민증

스트레스

예후

원발 원인에 따라 다양한 예후가 나타나며 특발성 결장염의 경우 좋은 예후가 예측된다.

치료

보호자에게 진단, 예후, 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24-36시간 정도 식이 공급을 자제한 후, 입에 맞는 부드러운 식이를 급여한다. 결장염 소견이 소장질환에 속발하여 의심될 때 힐스 i/d 또는 그와 유사한 식이를 급여한다.

항균제 sulfasalazine, tylosin, metronidazole을 투여한다.

운동성 개선에 대한 약물요법은 침습 성형, 장독소 생산 세균 감염, 아토니와 연관된 위배출 장애의 경우 금기시되고 있다. anticholinergics와 마약성 진통제를 쓴다.

항염증 및 항분비 약물요법 bismuth subsalicylate, octreotide, sulfasalazine을 사용한다.

CNS 억압제와 항경련제는 스트레스성 결장염에 대하여 지시된다.

면역억제제는 식이성 원인 또는 기생충 감염이 제거된 호산구 결장염에서 지시되고, 고양이에서 형질구 림프구 결장염에 지시가 되지만 궤양 결장염의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

반응형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심장성 폐수종  (0) 2022.10.03
반려묘의 설사  (0) 2022.10.02
횡격막 탈장/ 기흉  (0) 2022.09.27
반려동물의 교통사고  (0) 2022.09.27
기관 허탈 / 초콜릿 중독  (0) 2022.09.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