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의학/응급수의학

반려묘의 설사

by 청개구리수의사 2022. 10. 2.
반응형

고양이 설사

원인

해부학적 이상-선천적 비정상적으로 짧은 결장소장이나 대장의 넓은 부위의 외과적 절제두껍고 끈적한 췌장 중간 공장 인대문맥 전신성 단락, 폐쇄부위외상성 또는 울혈성 횡격막 또는 심막 허니아

감염원

바이러스 장염-feline panleukopenia, enteric cornavirus, FIP, rotavirus, astrovirus, feline calicivirus, FeLV, FIV

세균 감염-Campylobacter jejuni,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Bacillus piliformis, Clostridium perfringens

곰팡이 감염-Histoplasma capsulatum, Aspergillus fumigatus

기생충 감염-Isopora spp., Giardia, Toxoplasma gondii, Cryptosporidium spp., Toxocara cati, Ancylostoma tubaeforme & caninum, Uncinaria stenocephala, Strongyloides tumefaciens & planiceps, Dyplidium caninum, Spirometra mansoides, Taenia taeniaeformis, Dirofilaria immitis.

면역 관련 질병-음식 불내성과 과민반응

염증-형질세포 림프구호산구육아종조직구 또는 궤양 위장염, 장염증 질병.

대사성과 내분비 장애-갑상샘 기능 항진증, 당뇨, 췌장 외분비 부족, 췌장염과 간질병.

종양성 질병-림프 육종, 장 비만세포 종양고양이 전신 비만세포증, 장 선암(특히 샴 수컷에서), 기타 장 종양.

약물과 독소-다양한 약화학약품식물성 물질이 장에 직접적인 자극이 되거나 장 운동을 변화시켜 설사를 유발한다.

그 밖의 원인-고양이 특발성 결장염(특히 과민한 종-siamese, abyssinians, burmese에서 나타난다식이성 무분별이나 과식갑작스러운 사료의 변화나 스트레스

진단

병력-보호자는 구토설사간헐적 설사식욕부진기면을 관찰할 수 있다설사 발현 1-3일 이내의 갑작스러운 사료의 변화가 있었을 수도 있다.

신체검사-완전하고 전체적인 신체검사를 수행한다하지만진정되지 않은 고양이에서의 직장검사는 추천되지 않는다환자는 탈수가 나타날 수도 있다복부의 촉진으로 예민해질 수 있다복부에 덩어리가 촉진될 수도 있다.

실험실 평가

분변 검사(육안검사와 현미경 검사)

CBC

혈액화학검사

요 분석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와 고양이 면역부전 바이러스 검사

갑상샘 검사

지알디아에 대한 실험적 치료

제한 식이요법

더 자세한 검사(산소 특이 기능 검사분변 배양흡수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

복부 방사선-위장관의 이물질이 발견될 수도 있고 장이 두꺼워진 부분폐색 또는 장안 쪽의 덩어리가 나타날 수도 있다.

복부 초음파-두꺼워진 장벽이나 복부의 덩어리를 확인할 수 있다.

마취내시경장의 생검으로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탐색적 복부 장기 절제는 구토설사를 계속하고복통장기 팽창 또는 복막염이 있는 환자에서 진단 가치가 있다기관 벽 내의 폐색 또는 이물질은 다른 진단법으로는 항상 관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예후

원인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다.

치료

보호자에게 진단예후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급성 설사(경증)

환자가 88 주령 이상이라면 24-36시간 동안 금식

구토를 하지 않으면 경구로 수액을 투여하여 수분을 유지한다.

부드러운 음식을 주기 시작한다설사가 해결되면 2-3일 이상 점차 보통 음식을 공급하도록 한다.

급성 설사(중증)

정맥 내 또는 피하로 LRS 또는 Normosol-R 같은 균형 있는 전해질 정질 수액을 공급한다정맥주사가 더 낫다.

칼륨 보충제가 필수적이다혈청 칼륨 수준을 확인하고 그에 맞게 치료한다경험적으로 염화칼륨 30-40 mEq가 추가된다.

환자가 발열백혈구 증가증 또는 심한 출혈성 장염이 있으면 항생제를 투여한다권장되는 것은 amoxicillin, enrofloxacin, metronidazole, trimethoprim-sulfa 등이다.

혈당 수준을 확인한다필요하다면 5% 포도당을 공급하여 혈당을 130에서 180mg/dl 사이로 유지한다.

환자가 저단백혈증 또는 저 알부민 혈증일 경우 결정질 또는 혈장을 공급한다.

만성 설사(3-4주 지속)

영양보충을 해준다사료를 힐스 c/d 힐스 feline science diet으로 바꿔주는 게 좋다.

메트로니다졸, tylosin powder를 사료와 섞어서 12시간마다 먹인다또는 sulfasalazine을 투여한다.

특별한 원인에 대한 치료를 한다.

염증성 장 질병 치료

pds를 2-4주 동안 주고 점차 2주 간격으로 50% 증가시킨다.

메트로니다졸을 몇 달 동안 먹인다.

위의 복용으로 반응이 미약하다면, azathioprine을 3-9개월 동안 48시간 간격으로 한 번씩 경구 투여하는 것이 어떤 고양이에서는 유용할 수 있다.

반응형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의 구토  (0) 2022.10.04
비심장성 폐수종  (0) 2022.10.03
출혈성 위장염 / 결장염  (0) 2022.09.29
횡격막 탈장/ 기흉  (0) 2022.09.27
반려동물의 교통사고  (0) 2022.09.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