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
폐모 세포의 손상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폐수종은 혈관투과성을 증대시킨다. 발작과 머리 손상, 감전, 상부기도 폐쇄, 질식, 내독소, 호흡, 연기 흡입, 익사, 재 확장성 폐수종을 포함하는 것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진단
병력-금성 호흡억제는 위에서 열거된 원인들이 결과이다.
신체검사-다호흡, 호흡곤란, 청색증, orthopnea, 기침이 발생한다. 고양이는 흉와위로 누위 있는 반면에 개는 일반적으로 목을 신장시키고 앉아 있다. 폐수 포음이 청진된다.
흉부 방사선- 간질과 폐엽의 폐밀도가 증가한다. 폐밀도의 증가의 분포는 자주 배 측과 말단에 위치하며 전신적이지 않다. 울혈 심부전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증가된 폐밀도가 보통 폐문 주위에 생기나 심각한 경우 광범위하에 나타난다. 방사선학적 변화는 손상 이후에 12-24시간 동안 관찰되지 않는다.
예후
대부분 지켜보아야 하지만 병인에 따라 달라진다. 보통 심장성 폐수종보다 치료하기 어렵다.
치료
산소의 공급
기도를 확보한다
보호자에게 진단, 예후, 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원발 질환을 치료한다.
수액을 공급한다.
최소한 정맥 수액속도는 20-30ml/kg/day로 공급한다.
이뇨제를 공급한다.
만약 저혈압이 보이면 도파민을 IV로 CRI 한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필요하다면 진정을 시킨다.
기관 확장제를 투여한다.
corticosteroids, pds를 쇽 처치 용량으로 IV 한다.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한다.
호흡수와 운동 그리고 동맥 혈액가스를 감시한다.
치료에 반응이 없다면 환자를 진정시키고 삽관을 하고 기계적인 환기를 한다.
고양이 심근병증
신체검사에 의해서 질병의 형태를 감별할 수 있다.
비대심근병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수컷, 중년의 고양이에서 발생하고 페르시안이 소인이 있다.
진단
병력-영향을 받은 고양이는 증상을 나타내지 않고 심장부전 또는 혈전색전증의 증상을 나타내거나 갑자기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호흡곤란과 기면이 갑자기 발생할 수 있고 식욕부진, 침울, 활동 저하 그리고 움직이는 것을 꺼린다. 혈전색전증은 마비를 일으키고 통증 때문에 반복해서 신음한다.
임상증상-호흡곤란, 개구 호흡을 하고, 청색증, 습성 수포음, 기침, 말발굽 리듬이나 수축성 잡음이 나타날 수 있다. 경정맥이 노장되고 맥박이 보일 수가 있다. 혈전색전증은 병변이 있는 다리의 맥박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병변이 있는 다리의 체온이 내려간다.
흉부 방사선-일반적인 심장비대나 양쪽 심방의 비대, 폐정맥의 확대, 폐동맥의 비대, 폐수종 그리고 흉강 삼출물이 나타날 수 있다. 심장은 정상 크기이고 전형적인 하트 마크 형태이다.
심전도-정상이나 연장이 된 P파가 관찰되거나 P파의 진폭이 증가되고 2 유도에서 QRS의 간격이 늘어나고, 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좌측으로 축의 변위가 나타난다.
심장 초음파-좌측 심방의 비대, 심실중격이나 좌측심실벽이 두꺼워져 있고 유두근이 비대되어 있다.
실험실 소견-기본적인 검사, 요 검사, 갑상샘 검사. 질소 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ck, ast, alt의 증가가 색전증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파종혈관내응고(DIC)가 나타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갑상샘 기능 항진증이 원발 원인이 된다.
혈압측정에서 수축기 고혈압이 나타날 수 있다.
예후
예후는 괜찮은 것부터 지켜보는 것까지 다양하며, 몇몇 고양이는 진단을 받고 3년 정도 생존한다.
치료
보호자에게 진단, 예후, 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정맥 카테터를 장착한다.
이뇨제를 투여하고 심한 폐수종일 때 필요하다면 bumetanide를 IV 또는 PO 한다. 혈장 칼륨농도를 확인해야 하고 과도한 수액공급과 칼륨 고갈을 막기 위해서 IV로 수액을 유지해야 한다.
산소를 공급하고 필요하다면 산소 케이지에 둔다.
만일 폐수종이 있고 필요하다면 6-8시간 간격으로 흉부나 복부의 피부에 nitroglycerin cream을 도포한다. 비공 유성 테이프로 피부를 덮는다.
혈전색전증이 일어날 수 있으니 양쪽 대퇴부 맥박을 검사한다.
빈맥을 치료하기 위해서 propranolol을 투여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잘 조절되고 있지 않은 선천성 심부전, 천식 그리고 심방 색전증에는 금기된다.
만일 폐수종과 흉강 삼출물이 계속된다면 enalapril을 PO 한다.
심근의 산소 소비율이 감소하였거나 좌측 심실 확장 말기 압력의 감소, 허혈 감소, 박출량 폐색의 감소가 있을 때 diltiazem을 PO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심근병증의 형태를 확실히 진단할 때까지 다른 특별한 처치를 기다린다.
혈전색전증이 의심될 때, 다리를 따뜻하게 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스트레스를 피하고 진정제를 투여한다. acepromazine aspirin 헤파린을 투여한다. streptokinase의 투여를 고려한다. Tissue plasminogen activator의 투여를 고려한다.
확장 심근병증 dilated cardiomyopathy
중년이나 노년의 수컷에서 많이 발생, 종종 siamese, burmese 또는 abyssinians에서 발생한다.
진단
병력-식욕감소, 기면, 호흡곤란, 경우에 따라서는 구토
증상-저체온증, 침울, 탈수, 허약, 창백, 호흡곤란, 약한 맥박, 둔탁한 심음, 심실 말발굽 심음(S3)이 청진상 들린다. 타우린 부족에 의한 망막 비재생으로 인한 안저가 과반사를 일으킨다. 다른 증상은 비대성과 비슷하다.
흉부 방사선-일반적인 심장비대, 흉강의 삼출물, 폐수종, 또는 심장이 정상으로 나타난다.
심전도-정상이거나 QRS 간격이 연장되거나 부정맥을 나타냄
심장 초음파-심근수축기능의 감소를 동반한 심방 심실의 확장, 이첨판과 삼첨판의 역류, 대동맥사출속도의 감소
실험실 소견-기본적인 검사, 요검사, 갑상샘검사
고질소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ck, ast, alt의 증가가 색전증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dic가 나타날 수 있다.
갑상샘 기능 항진증이 일반적인 원인이 된다.
저칼륨혈증이 발생함
혈장의 타우린 수치가 정상보다 낮다.
예후
예후는 지켜봐야 하거나 나쁠 수 있다. 대부분의 고양이는 처치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치료
보호자에게 진단, 예후, 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진정-만약 고양이가 많은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다루기 힘들 때 낮은 용량의 부토판올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케타민은 사용을 피한다.
스트레스를 피한다.
산소를 공급하고, 스트레스를 주지 않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산소 케이지에 고양이를 넣는다.
정맥 카테터를 장착한다.
필요하다면 흉강천자를 실시한다.
이뇨제와 필요하다면 혈관확장제를 투여한다.
타우린 부족이 일반적인 원인이다. 처치 전에 미리 혈장 샘플을 구한다. 정상은 60 nmol/ml이상이다.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가 설사할 때 감별진단 (0) | 2022.10.05 |
---|---|
반려동물의 구토 (0) | 2022.10.04 |
반려묘의 설사 (0) | 2022.10.02 |
출혈성 위장염 / 결장염 (0) | 2022.09.29 |
횡격막 탈장/ 기흉 (0) | 2022.09.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