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력-사고가 목격되거나 또는 다친 채로 발견됨
신체검사-다양함, 털에 기름, 오물, 식물 등이 있기도 하고, 피부가 벗겨지거나 열상, 화상, 멍이 들기도 한다. 발톱이 닳아서 거칠게 되고, 전안방 출혈, 골절, 다양한 정신상태, 호흡곤란, 다양한 단계의 쇽을 나타낸다. 동물이 안정되거나 안정되었다고 생각되는 즉시 세밀하게 신체검사를 한다. 일반적인 기억을 돕는 진료순서의 영문약자(A CRASH PLAN)을 이용하면 수의사가 신체검사 시 하나도 빠짐없이 진료하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A-airway
조심스럽게 관찰하고, 촉진하며, 청진하고 구강과 인두 및 목을 검사한다.
C and R-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반복해서, 세밀하게 관찰하고 촉진하며 가슴 양쪽에서 청진하고 타진을 해본다. 호흡수와 깊이를 관찰하고 기록한다.
A-abdomen
서혜부와 뒤쪽 흉부, 허리 주위도 검사한다. 검사할 때에 망진, 촉진, 타진, 장 음의 청진 등도 해야 하고 가능하면 털을 깎고 멍이나 천공, 배꼽에 상처 등을 확인해야 한다.
S-spine
경추 1번부터 마지막 미추까지
H-head
눈, 귀, 코, 모든 두부 신경과 입, 치아, 혀
P-pelvis
회음부, 항문 주위, 직장 검사를 하고 암, 수 외부 생식기 검사도 한다
L-limbs
양쪽 전지와 후지의 피부, 근육, 건, 뼈와 관절을 검사한다.
A-(peripheral) arteries
팔과 대퇴의 맥박을 양쪽에서 검사하고 앞쪽 경골과 표층 발바닥과 뒤쪽 꼬리에서도 한다.
N-(peripheral) Nerves
다리와 꼬리로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의 전달
감별진단
교상, 다른 심각한 창상
예후
예후는 좋은 것부터 치명적인 것까지 다양하다
치료(손상의 정도에 달려있다)
보호자에게 진단, 예후, 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만약 환자가 경미한 찰과상이 있고 골절, 호흡곤란, 복부 통증이 없다면 입원시키고 최소 12-24시간 동안 관찰한다. 상처부위를 삭모, 세척한다.
골절이 있고 경미한 창상이 있다면 입원시켜 관찰한다. 필요하면 방사선 촬영을 한다. 상처를 삭모, 세척한다. 가능하면 골절을 안정화시킨다. 항생제와 진통제를 투여한다.
환자가 쇽 상태이면 쇽 처치를 한다. 마스크로 산소를 공급하거나 비닐봉지로 머리를 덮은 다음 산소 튜브를 봉지에 넣거나, 코에 산소 카테터를 장착하거나 엘리자베스 칼라 산소 후두를 이용하거나 환자를 산소 케이지에 넣는다. IV 카테터를 장착하고 PCV/TP과 BUN을 측정한다. 정맥 내 수액 처치를 시작한다. 하트만 액, Normosol-R 같은 평형 전해질 수액으로 보상 투여한다. 환자가 심각한 쇽 상태이면 개는 7.5% NaCl, 4-5ml/kg IV, 고양이는 ml/kg IV를 2-5분 이상 투여한다. 환자가 심각한 쇽 상태이면 Hetastrach나 Dextran 70을 20ml/kg IV 투여한다. 계속되는 쇽 상태에서 필요하면 6-8시간 이상 Hetastarch를 20ml/kg 추가로 투여한다. 스테로이드 투여를 고려한다. 쇽 처치 시에 코티코스테로이드 투여는 논란이 있지만 몇몇 연구해서는 유해함을 보였다. 체온을 감지하고 필요하면 따뜻하게 해준다. 광범위 항생제와 위장관 보호제를 투여한다. 소변량을 체크한다. 고양이는 0.5-1ml/kg/h, 개는 1-2ml/kg/h
흉부 창상과 호흡곤란
기흉이 의심되면 양쪽 흉강천자를 실시하여 가능한 많은 공기를 제거한다. 바늘이나 카테터의 의인성 폐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여 천자한다. 폐에 좌상이 있다면 흉강 내에 공기를 최대한 천천히 제거하여 폐가 천천히 팽창할 수 있도록 한다. 흉부 방사선 촬영한다. 신체 외벽과 횡격막, 늑골, 흉골과 척추를 평가한다. 피하 기종과 복수 축적을 살핀다. 심장의 크기, 형태와 위치, 종격동 두께, 폐조직과 혈관 유형을 평가한다. 방사선학적으로 좌상은 미만성이거나 반점형으로 해부학적 형태가 아닌 폐포, 간질 형태로 된다. 좌상은 방사선학적으로 4-6시간 동안은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동요흉(fail chest)의 안정화
즉시 환자를 동요하는 흉부 쪽을 아래로 횡와자세로 위치시킨다. 고정을 위해 흉부를 싸준다. 국소마취를 하고 골절된 늑골 골편을 주변의 고정되어 있는 늑골과 근육에 봉합해 준다.
폐좌상의 임상증상은 빈호흡, 호흡곤란, 기좌 호흡, 개구 호흡, 객혈 등을 보인다. 흉부 청진에서 습식 수포음과 기관 지음이 들린다. 경증일 경우 치료는 없고 운동 제한과 휴식을 취한다. 동맥혈 가스 분석이 매우 유용하다. 중증도는 폐수종이 있다면 이뇨제를 투여한다. 호흡곤란이 있다면 산소를 공급한다. 중증-환자를 안정화시키고 생명을 위협하는 손상에 대하여 치료한다. 입원시키고 관찰한다. IV 수액 처치고 조직 관류와 적절한 심박출을 회복시킨다. 심박수, 호흡수, 점막 색깔과 모세혈관 충만 시간을 검사한다.
복부 창상
소변량 검사한다. 소변 배출이 감소되거나 없고 환자가 복부 통증이 있으면 환자는 방광 파열의 가능성이 있다. 복부 방사선을 찍는다 일반상과 조영상을 찍는다. 진단적 복막 세척이나 북부 천자를 실시한다. 만약 방광이나 다른 요로계의 파열이 있다면 복강 내 체액 축적을 야기시킨다. 탐색적 개복술을 하기 전에 안정이 필요하다. 수술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요도 카테터를 장착하여 복강 축적을 낮게 유지한다. 고양이는 가능한 빨리 수술적 교정을 하거나 복강 세척을 한다. 복강 투석을 안정을 돕고 요독증을 감소시킨다.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혈성 위장염 / 결장염 (0) | 2022.09.29 |
---|---|
횡격막 탈장/ 기흉 (0) | 2022.09.27 |
기관 허탈 / 초콜릿 중독 (0) | 2022.09.27 |
급성 개 바이러스성 위장염 (0) | 2022.09.26 |
고양이 천식/ 흉막삼출 (0)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