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의학/응급수의학

반려동물의 심장부전

by 청개구리수의사 2022. 10. 14.
반응형

심부전 heart failure

심장부전 치료의 개요

치료 전략은 신경호르몬 활성의 결과나 활성 과정 자체 모두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목표는 부종과 삼출을 조절하고, 심장박출량을 증가시키고, 심장 작업 부하를 감소시키고, 심근 기능을 보조해 주고, 수반되는 부정맥을 관리하는 것이다. 심장부전의 임상적 심각성에 따라 적용할 치료를 정한다. 수축기 기능 이상이나 진행된 판막 부전에 의해 심부전이 발생한 동물에서는 세동성 확장이 가장 효과적이며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는 것도 도움이 된다.

급성 CHF. 급성 CHF는 심각한 심장성 폐부종이 특징이며 흉막 혹은 복막 삼출, 심박출량 저하를 동반하기도 한다. 치료는 신속하게 폐부종을 제거하고 산소 공급을 향상하며 심박출량을 최적화하는데 목표를 둔다.

만성 심장부전. 치료는 각 환축의 필요에 맞게 용량 용법을 조절하거나 첨가 혹은 대체하고, 생활양식과 식습관에 변화를 줌으로써 맞춤치료를 한다. 약물치료에 불구하고 축적된 흉막 삼출과 많은 양의 복수는 호흡을 향상하기 위해 배출되어야 한다. 심장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보통 더 공격적인 치료가 필요한다. Pimobendan에 의한 심근 기능 보조는 많은 개들에게 유용하고 일부 고양이들에게도 좋다.

확장기 기능장애의 치료 지침

비대성 심근병증. 심실 충만이 불충분한 HCM과 같은 질병의 치료 목표는 심실 충만 시간을 연장하고 허혈을 감소시키기 위해 심박수의 점진적인 증가를 피하는 것이다. 또한 심장 이완을 향상하는 것 또한 좋은 목표이다. Diltiazem이나 베타 차단제와 같이 심박수를 감소시키는 치료가 유용할 수도 있지만, 생존 시간에 대한 효과는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 ACE 억제제가 유용할  있고 CHF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뇨제의 병용치료가 권고된다.

심장 눌림증. 심장 눌림증에 의한 심실 충만 부전은 약물치료보다는 심낭 천자술로 치료하며 부가적인 심낭막 절제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협착성 심낭 질환은 반드시 외과적으로 치료되어야 한다.


이뇨제

이뇨 요법을 CHF에서 발생되는 삼출과 부종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심장부전에서 이뇨제의 과도한 사용은 신경호르몬 활성을 더욱 심각하게 악화한다.

Furosemide. 환상 이뇨제는 오직 심장성 부종이나 삼출을 지닌 동물들에만 사용된다. 급성 CHF. 공격적인 furosemide 치료가 급성, 갑자기 발생하는 폐부종이 사용되지만 최소 유효 용량이 만성 심장부전 치료에 사용된다. 만성 심장부전. Furosemide는 만성 심장부전을 관리를 위한 단독요법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부작용은 일반적으로 수분과 전해질의 과도한 손실과 관련된다.

Spironolactone. 칼륨보존 이뇨제는 정상적인 개에서 이뇨 효과가 적지만 치료 불응성 만성 심장부전에 유용한 보조요법이 될 수 있다. 알도스테론은 ACE 억제제를 사용할 때도 유리된다. Spironolactone의 항알도스테론 작용은 알도스테론에 의해 유도되는 심혈관 개조를 완화시킨다. Spironolactone은 ACE 억제제나 칼륨이온 보충을 반는 환축에는 반드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하고 고칼륨혈증 환축에는 절대적으로 금기되어야 한다. 부작용은 과도한 칼륨 저류와 위장관계 장애와 연관된다.

Thiazide계 이뇨제. Chlorothiazide나 hydrochlorothiazide는 종종 치료저항성 CHF에서 furosemide나 다른 요법과 병용요법으로 사용된다. Thiazide계 이뇨제는 신장 혈류량을 감소시키며 질소 혈증이 존재할 때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ACE 억제제

불활성화 전구체를 활성화된 안지오텐신 2로 전환하는 ACE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들이다.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연쇄반응의 효과와 반대 작용을 한다. ACE는 또한 bradykinin을 포함한 일부 혈관확장성 키닌을 분해한다. 대부분의 ACE억제제는 간에서 활성형태로 전환되는 전구약물이다. 심각한 간 기능 장애가 이 변환을 간섭할 수 있다.


수축력 증가제

Pimobendan은 benzimidazole-pyridazinone 유도체로 비교감신경흥분제, 비-배당체 수축력 증가제로써 혈관을 확장시키는 특성 또한 갖고 있다.

도부타민과 도파민 (교감신경 유사 작용 약물)

도파민은 내인성 카테콜아민으로 노르에피네프린의 전구물질이다. 도부타민은 도파민의 합성 유사체이다. 카테콜아민은 특히 고용량일 때 수축력과 심박수를 증가시킨다. 심장의 베타 1 수용체 자극은 adenylyl cyclase를 활성화시켜 cAMP 합성을 증가시키고 이것은 결과적으로 protein kinase A를 자극해 칼슘통로를 활성화시켜서 칼슘의 유입과 강력한 수축력 증가를 야기한다. 도파민과 도부타민은 다른 치료와 병용하여 심근 부전이 있는 개와 고양이에서 수축력과 혈압을 유지하기 위해 단기간 사용한다. 심부전에 대한 카테콜아민의 이용은 베타 수용체의 하향 조절에 의해 제한적이다. 일반적으로 이 약물들은 3일 이상 투여하지 않는다. 매우 짧은 반감기와 적용된 카테콜아민의 광범위한 간 대사로 인해 보통 지속적 정맥주입만이 유효하다. 고용량에서 도파민과 도부타민은 심박수, 심근의 산소요구량과 심실 부정맥을 유도하는 위험을 증가시킨다. 동빈맥이나 빈맥성 부정맥이 발생하면 즉시 유입속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신장 혈류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도파민은 다른 약물의 신장 청소율을 강화시킨다.

반응형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의 진정계 이상  (0) 2022.10.24
반려견의 발작  (0) 2022.10.20
반려동물의 췌장염  (0) 2022.10.13
패혈성 쇽과 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  (0) 2022.10.09
고양이의 빈혈  (0) 2022.10.0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