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
병인은 보통 특발성이다. 소인성 요인은 다음과 같다.
비만
지방이 많은 사료
지방이 많은 음식의 섭취
고지방 혈증-부신피질 항진증, 당뇨, 갑상선 기능 저하증, 미니어처 슈나우져에서 비특이적으로 유발
고칼슘혈증-악성,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비타민 D 중독증
부신피질 호르몬 치료와 부신피질 기능 항진증
감염
복부 수술이나 외상
췌장관으로 십이지장의 역류
담관의 질병
췌장권의 폐쇄
과도한 자극-전갈의 독, cholinesterase inhibitors, cholinergic 길항제, caerulein
췌장 허혈-혈전, 혈액량 감소, 췌장 미세혈관의 부분적 정체
췌장의 종양
진단
병력-환자의 식단에 신경을 쓰지 않고 사람의 음식을 그대로 주는 경향이 있다. 구토, 설사, 식욕감퇴, 안절부절, 헐떡임, 떨림, 쇠약, 그리고 복부 통증을 보인다. 췌장염은 일반적으로 중년령의 개와 노년의 비만한 개에서 많이 발생하고 약간의 소인을 가지고 있는 암컷에서 다발하나 어떤 개와 고양이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신체검사-환자는 발열과 의기소침을 보일 수 있다. 탈수의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환자는 불안정한, ‘기도하는 자세’나 복부를 활처럼 휘는 자세를 보이기도 한다. 전 배 측 복부를 촉진 시 환자는 통증을 나타내는데 그 정도는 다양하다. 설사가 나타날 수 있는데 혈액을 보일 수도 있다. 우측 앞쪽 복부에 종양이 만져질 수도 있다. 황달, 부정맥, 점상 출혈이나 반상출혈과 같은 외부 출혈 소견을 보일 수도 있다.
실험실 평가
CBC
CBC는 좌측방향의 호중성 백혈구 증가증을 나타낼 수 있다. 심각한 췌장의 괴사, 패혈증, 내독소혈증과 함께 퇴행성의 좌측방향의 백혈구 감소증을 보일 수 있다. 탈수로 인해 증가한 PCV가 일반적이고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DIC를 가진 환자에서는 혈소판 감소증, 거대 혈소판, RBC 조각을 보일 수 있다. 혈장은 황달성이거나 지질혈이다.
전해질 검사를 포함한 혈청학 검사 시 다음이 증가할 수 있다.
ALP, ALT, 빌리루빈, amylase, lipase, BUN, Creatinine 증가. 고혈당증, 저칼륨 혈증, 저칼슘혈증, 절식 시 과지방 혈증, 저 알부민 혈증
신장 질병의 간질병 사이의 구별을 위해 요 분석을 해야 한다. 요 비중이 1.025 이상이라면 적당한 신장기능을 나타내므로 진행성 신장 질병과 감별해낼 수 있다. 요에서 케톤과 당이 나오면 당뇨병 케톤산증을 나타낼 수 있다.
혈액가스 분석-대사성 산증이 가장 일반적인 산-염기 불균형이다. 그러나 산-염기 상태를 예견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개개인 환자마다 평가해야 한다.
응고 상태-연장된 ACT, PTT, PT 증가한 FSPs, 감소한 피브리노겐, 증가한 D-dimer 상태, 그리고 혈소판 감소증이 DIC를 의미한다.
혈청의 Trypsin-like immunoreactivity assay는 췌장 질병에 특이적이다. 증가한 TLI는 급성 췌장염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반감기가 짧아서 병의 경과가 이른 시기에는 올라갔다가 빠르게 떨어지기 때문에 감수성이 떨어진다. 최근에는 혈청 Panreatic lipase immunoreactivity가 보다 췌장염에 특이적이고 감수성이 높아 췌장 염증 진단에 많이 이용된다. PLI는 위염이나, 스테로이드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다.
복수의 분석은 복강 내 감염을 감지할 수 있다. 복부 방사선 검사에서는 복부의 우측 앞쪽에서 증가된 밀도와 복부의 상세함과 명암 대조비의 감소를 볼 수 있다. 내림 십이지장 부분이 오른쪽으로 전위되고 유문동은 복배 위로 봤을 때 왼쪽으로 전위될 수 있다. 십이지장은 옆에서 봤을 때 아래쪽으로 전위될 수 있다. 십이지장이나 가로 결장에서 폐색증과 위의 팽창이 관찰될 수 있다. 바륨은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통과시키는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
흉부 방사선- 흉수나 폐수종을 보일 수 있다.
복부 초음파-불규칙한 췌장의 확장과 감소되거나 얼룩덜룩한 췌장의 에코를 관찰할 수 있다. 위 낭종과 고름과 같은 췌장 강이 관찰될 수 있다. 복수가 관찰될 수 있다. 동시 발생하는 간질병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는 담관의 폐쇄를 관찰할 수 있다.
합병증과 후유증
급성 합병증
체온저하, 허탈, 순환기 쇽에 의해 혈액량 감소와 내독소 쇽을 야기할 수 있다.
복막염과 복강 지방의 괴사
패혈증
DIC-혈전증, 출혈, 경색증
황달-담관의 폐쇄, 간내 쓸개즙 정체, 간세포 괴사
급성 핍뇨성 신부전
호흡곤란 증후군
심부정맥-심근 억압 인자로 인한 심근허혈이나 괴사로 인한다.
고혈당
저칼슘혈증-강직은 드물다
장운동 저하
저나트륨혈증
만성적인 합병증과 후유증
췌장의 종양과 위 낭종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췌장염
말기의 췌장 섬유화와 위축으로 인한 당뇨 혹은 외분비 췌장 부전
만성 섬유질성 췌장염을 유발하는 총담관 폐색으로 인한 이차적인 간질병
감별진단
약한 췌장염의 이른 시기, 흉요추 추간판 디스크 질병이 가장 중요한 감별 목록 중 하나이다. 부가적인 감별 목록은 소화기 질병(장염, 장관계 폐쇄, 염증성 장염), 부신피질 기능 저하증, 간질병, 담도염/간담도염, 신장의 질병, 복강 내 종양, 자궁 축농증, 복막염, 패혈증이 있다.
예후
예후는 지켜봐야 한다. 자주 병이 지연되어 임상적 상태를 예견할 수 없다. 당뇨성 케톤산증, 급성신부전, 패혈증, 간이나 담즙정체성 질병, 장폐쇄와 같은 질병이 동시 발생한다면 예후는 좋지 않다.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의 발작 (0) | 2022.10.20 |
---|---|
반려동물의 심장부전 (0) | 2022.10.14 |
패혈성 쇽과 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 (0) | 2022.10.09 |
고양이의 빈혈 (0) | 2022.10.08 |
개의 빈혈 (0) | 2022.10.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