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
재생성 빈혈-48-96시간 후 급격한 실혈(외상), 만성적인 실혈(십이지장충, 벼룩 감염, 출혈을 동반한 면역 매개 혈소판 감소증), 파종혈관내응고, 용혈 질환[(면역 매개 빈혈), 신생아의 isoerythrolysis, hypophosphatemia, hemobartonellosis, babesiosis, ehrichiosis, throlysis, acetaminophen, phenothiazines, penzocaine, benzocaine, methionine, methylene blue, propylene glycol, propylthiouracil, Vitamin K, methimazole, sulfa antibiotics, penicillin, cephalosporins]
재생불량성 빈혈-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 감염, 고양이 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바이러스 감염, 고양이 범백혈구 감소 바이러스 감염, 신장질환, 영양결핍, 철 결핍, 벼룩 감염, 악성 종양에 의한 속발성 골수 억제, 이온화 방사선, 골수 황폐증, 골수형성 이상 질환, 골수섬유증, 골 경화증, 골 화석증, 만성 질병, 부신피질 저하증, 갑상샘저하증, 얼리키아증, chloramphenicol
진단
병력-보호자는 오심, 이식, 졸음, 허약, 체중감소, 실신, 허탈 등의 증세를 관찰하였을 것이다. 기생충, 외상, 독소, 열, 다른 아픈 동물들에게 노출되었을 수도 있다. 현재 또는 최근에 투여된 약물을 조사하고 최근의 질환이나 수술에 대해서도 조사하라. 또한 형제나 부모 등에서도 혈액장애가 발병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보호자에게 혈뇨, 혈변, 비출혈, 객혈, 등과 같은 혈액 손실이 있었는지 물어본다.
신체검사-환자는 창백, 황달, 반상출혈 또는 점상 출혈과 저체온증을 보일 수 있고 유약, 호흡곤란, 다호흡, 빈맥, 도약성 맥박과 제1/2 수축기 잡음이 나타나기도 한다. 림프절 병변, 간종대, 비장 종대가 촉진되기도 한다. 또한 체중감소, 종말증, 출혈 또는 창상과 진드기 또는 벼룩이 관찰되기도 한다.
임상병리학적 검진
시험관이나 현미경 슬라이드에서 자가 응집이 있는지 확인한다.
cbc를 측정한다. 14% 이하의 pcv는 심각한 빈혈을 나타내며, 15-19%는 중등도의 빈혈, 20-24%는 경미한 빈혈을 나타낸다.
재생 빈혈은 일반적으로 대 적혈구성 저색소의 적혈구를 특징으로 한다.
고양이에서 군집된 망상적혈구는 0-0.4%가 분산된 망상적혈구는 5% 이하가 정상적인 수치이다. 군집되어 보이는 망상적혈구는 가장 활발하고 최근에 재생된 형태이다. 군집 망상적혈구의 수가 1% 이상일 경우 재생을 나타내는 것이다. 용혈빈혈 환자는 빈번히 중간 정도에서부터 강한 재생 반응을 보이는데, 좌방 이동된 호중구와 단핵구의 증가가 특징적인 백혈구 증가증을 보인다.
혈액 도말 표본 검사
1000배 한 시야 내에 11에서 25개의 혈소판이 보이면 정상이다. 적어도 10개에서 12개는 보여야 하며, 1000배 한 시야 내에 3-4개 보다 적은 혈소판이 보일 경우 임상적으로 중대한 혈소판 감소증이다.
유핵 적혈구의 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적혈구의 형태를 검사하여 구상 적혈구, 다염색 적혈구, 분열 적혈구의 존재 여부를 파악한다.
혈구 내의 기생충을 검사한다. 적혈구에 붙어있는 헤모 바토넬라와 대식 세포와 적혈구 속의 cytauxzoon felis 등을 확인한다.
직접 coomb's test-IMHA를 가지고 있는 고양이의 10-30%가 음성으로 나온다.
혈청이나 혈장 단백질 농도를 측정한다. 실혈의 경우에는 저 단백혈증을 유발하지만 용혈성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혈액 화학적 검사를 실시한다.
흔하게 발생하는 지역성 전염성 질병과 FeLV, FIV, FIP를 포함한 고양이의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해 역가를 검사한다.
출혈 이상 소견이 보이면, 응고인자 검사를 실시한다.
요 검사와 분변 검사를 실시한다.
병원에서 적혈구와 삼투압 취약성 검사를 측정하려면, 5ml의 0.54% 생리식염수에 환자의 혈액 5방울을 떨어뜨린다. 30분 정도 배양한 후에 흔들어 섞는다. 용혈이 일어나면 이는 적혈구의 삼투압 취약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방사선-흉부와 복부의 검사가 모두 이루어져야 한다. 종괴나 장기의 거대화가 관찰될 것이다. 이는 심낭 삼출물이나 흉수, 복수 등의 내부 출혈의 증거이다.
초음파-방사선 검진 상에서 발견된 이상을 검진해보는 것이 좋다. 원인 응고인자가 밝혀질 때까지는 초음파를 이용한 생검은 피하도록 한다.

예후
예후는 원발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치료
보호자에게 진단, 예후, 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정맥 카테터를 장착하여 혈액을 채취한다.
정확하 진단 결과에 따라 대증적이고 보조적인 치료를 실시한다.
지속되는 출혈 부위를 찾아 지혈하려고 노력한다.
초기에 저혈량성 쇽과 신장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수액 처치한다.
필요에 따라 구충제를 사용한다.
진드기나 이를 구제한다.
항응고성 살서제 또는 중증 간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면, 비타민K를 투여한다.
위장관 출혈이 있는 경우, 제산제와 위 보호제를 투약한다.
Ehrlichiosis이 의심되는 경우, doxycycline 또는 tetracycline을 처방한다.
평형 전해질 정수액을 유지용량으로 IV 투여한다.
산소를 공급하고 환자가 면역 매개 용혈빈혈 또는 면역 매개 혈소판 감소증 발생 가능성이 있다면, Corticosteroid를 처방한다.
순환기 또는 호흡기 장애를 보이는 환자에서 충전 적혈구 또는 혈색소에 근거한 산소 운반체를 투여한다. 교차반응을 실시한 후에 수혈을 실시한다.
수혈 시작 20분 전, diphenhydramine HCL 또는 dexamethasone sodium phosphate으로 전처치 한다.
수혈 후 1, 24, 72 시간마다 PCV/TS를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의 췌장염 (0) | 2022.10.13 |
---|---|
패혈성 쇽과 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 (0) | 2022.10.09 |
개의 빈혈 (0) | 2022.10.08 |
강아지가 설사할 때 감별진단 (0) | 2022.10.05 |
반려동물의 구토 (0) | 2022.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