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의학/응급수의학

반려견의 발작

by 청개구리수의사 2022. 10. 20.
반응형

Canine seizures

진단

병력-보호자는 전신운동 발작 (무의식, 횡와자세, 신체 전반에 걸친 운동 상태), 환각동공 확대씹기유연배뇨배변 등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미약한 전신운동 발작은 수초 간 지속되며 지각 상태가 저하되고횡와자세를 보이지 않는 미약한 전신운동 상태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안면근 연축은 귀안검수염에서 관찰된다떨기 유연배뇨 또한 관찰될 수 있다.

부분 발작은 개에서 흔하지는 않지만 흐리멍텅한 모습을 보이고 반응이 떨어지며편측성 안면근 연축과 고개 돌림 또는 같은 쪽의 사지 한쪽 또는 모두를 반복적으로 움직이고환각짖기미친 듯 달리기, 선회 운동, 물기 등의 특징을 보인다멍하거나 혼동스러운 상태갈증배고픔졸림 등의 비정상적인 증상이 발작 후 따라온다.

경련 중첩증은 30분 또는 그 이상 발작 상태가 이어지는 것으로 발작이 연속적으로 높은 빈도로 발생하여 회복이 되지 않거나단일 발작이 지속되어 생긴다경련 중첩증은 즉각적인 처치를 필요로 하는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이다.

신체검사-처음 검사 시, 환자는 정상상태일 수도 있고발작 후 상태 또는 발작 상태일 수도 있다. 만일 환자가 청색증을 보이거나 호흡 장애를 보이면, 산소를 공급한다. 만일 환자가 고열 상태이라면, 수액 요법과 체온을 낮추는 처치를 실시한다.

실험실 평가

처음 검사 시, 상태가 위험한 환자가 최소 평가항목은 다음과 같다.

PCV/TS

BUN

Glucose

Calcium

시간이 허락한다면, 추가 검사항목은 다음과 같다

CBC

혈청 화학 검사(ALT, ALP, BUN, creatinine, amylase, lipase, elcetrolytes)

혈액가스 분석

감염성 질병, 중독을 감별하기 위한 추가적인 검사가 지시될 수 있다.

감별진단

초기에 부분 발작, 발작이 4주 간격보다 적거나 혹은 행동의 변화를 보이는 1 연령 이하 또는 7 연령 이상의 개는 대개 다음과 같은 원인들이 있다.

행동 장애

뇌수두증

특발성 간질

뇌수막염

홍역

광견병

Toxoplasmosis

Cryptococcosis

Coccidioidomycosis

Rickettsia

심각한 장 기생충

PSS

뇌회결소증

중추신경계 종양

무산소증이나 대뇌 창상

저혈당증

저칼슘혈증

고지방단백혈증

파상풍

중독

ethylene glycol 중독

유기인 중독

carbamate 중독

strychnine 중독

metaldehyde 중독

납중독

marijuana 중독

pyrethrin과 pyrethroid 중독

chlorinated hydrocarbon 중독

black widow spider 물림

brown recluse sipder 물림

두꺼비 독

rattlesnake envenomation

tricyclic antidepressant 중독

다양한 식물의 섭취


예후

예후는 원발 원인에 따라 다양한다.

치료

보호자에게 진단, 예후, 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관찰과 치료를 위해 환자를 입원시킨다.

노쪽 피부에 정맥 내 카테터를 정착한다. 경정맥을 피한다

치료 전 혈액을 채취한다. 혈청 분리 시험관은 혈청 phenobarbital 농도의 측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피한다. 만일 혈청 분리 시험관을 어쩔 수 없이 사용했다면 빨리 일반 튜브로 혈청을 옮긴다.

diazepam 또는 pentobarbital을 iv 하여 발작을 완화시킨다.

diazepam= 0.7-3.0 mg/kg iv, 완전한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5분간 기다린다. 반복투여가 가능하다. 만일 정맥 내 카테터가 장착되지 않았으면 0.5-1.0 mg/kg 용량으로 직장 내 투여한다.

뇌내성 병인이 의심되거나, 2번 이상의 발작이 발생했거나, 발작이 60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는 diazepam이 지시된다.

diazepam이나 pentobarbital이 없거나 효과가 없을 시에 사용하는 다른 처치로는 propofol thiopental을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iv로 준다.

propofol 6 mg/kg을 1-2 mg/kg bolus로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나누어서 iv 투여 후 0.1-0.2 mg/kg/min로 점적한다. 간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발생한 발작에 대한 처치법으로 선호된다.

diazepam, pentobarbital, propofol, thiopental과 함께 potassium bromide를 100-150 mg/kg q6h로 직장이나 경구 투여할 수 있다.

동시에 phenobarbital을 iv 한다. 20분 간격으로 최대 16mg/kg까지 투여 가능하다.

환자의 직장온도를 측정한다. 직장온도가 39.5도 이상이면 체온을 낮춰준다.

필요하면 산소를 공급한다

환자가 저혈당증이면 10% dextrose를 천천히 iv 한다

환자가 저칼슘혈증이면 10% calcium gluconate를 천천히 15-30분 동안 주입한다.

탈수가 없다면 수액을 유지 용량으로 주입한다.

만일 발작이 길어지거나 염증이 의심된다면 Dexamethasone sodium phosphate를 iv 하거나 PDS를 IV 한다.

대뇌 부종이 의심된다면 산소를 공급하고 이뇨제와 만니톨을 준다.

일 발작이 멈추지 않으면, diazepam 또는 pentobarbital을 CRI 한다.

진단에 접근하기 위해 심장질환을 배재한다. 중독을 감별한다. 저혈당증을 검사한다. 알레르기 반응을 모니터링한다. 산후욕, 간 질환과 감별 진단한다. 중추신경계 질환 혹은 홍역을 진단한다. 진단이 나면 즉시 거기에 대한 특별한 증상에 대하여 처치한다.

간질환자의 회복기에 혈중 phenobarbital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경구투여를 실시한다.

반응형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의 발작  (0) 2022.10.27
반려동물의 진정계 이상  (0) 2022.10.24
반려동물의 심장부전  (0) 2022.10.14
반려동물의 췌장염  (0) 2022.10.13
패혈성 쇽과 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  (0) 2022.10.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