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천식
가역적인 수축과 기도의 평활근의 경련으로 인한 호흡곤란은 ‘고양이 만성 기관지 질병과’ ‘고양이 천식’으로 불린다. 염증 과정에 따라 기관지 수축을 일으킨다.
진단
병력-모래화장실의 먼지, 흡연, 집안 내 분진, 솜, 화석, 또는 그 외 알러젠으로부터 고양이는 노출되어 있다. 기침이나 헐떡거림을 보인다. 환자는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과도한 유연, 얼굴을 발톱으로 긁기, 불안, 개구 호흡, 청색증이 발생된다.
신체검사-환자는 복부에 힘이 증가되며 강하고 연장된 흡기 호흡을 보인다. 환자는 개구 호흡을 보이고 청색증, 좌위호흡, 불안, 기관지 폐 포음이 증가되며 호기 헐떡거림, 기침, 공기 연하에 기인한 복부 팽대를 보인다.
흉부 방사선- 방사선학적 소견은 정상적이거나 간질 밀도와 기관지 주위 침윤이 증가하는 소견을 보인다. 흉강의 크기가 증가되며 횡격막의 직선화, 폐의 방사선과투과와 공기 연하증을 보인다. 기흉이. 몇몇 환자에서 관찰된다. 만성천식을 가진 동물에 기종성 수포가 관찰된다.
실험실 소견- CBC와 혈청학적 검사결과는 진단에 별로 도움이 안 된다. 천식이 있는 20%의 고양이에서 호산구가 증가한다. 고단백질혈증이 관찰될 수 있다. 분변검사와 잠재된 사상충 검사가 시행되어야 한다.
감별진단
고양이 림프종, 심근병변, 폐수종, 흡인 폐렴, 기관지 폐렴, 비심장원성 폐수종
예후
예후는 괜찮거나 지켜봐야 한다. 첫 번째 천식발작 다음에 고양이는 더 진전된 상태로 발전할 수 있다. 장기간의 후유증이 만성 기관지염으로 발전되고 결국 폐사에 이를 수 있다.
치료
보호자에게 진단과 예후, 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환자는 스트레스를 피하고 케이지에서 휴식을 취하여야 한다. 환자가 안정된 후로 방사선 진단을 연기해야 한다. 방사선은 치료가 아니다. 환자는 우선 안정을 해야하고, 흉강천자나 방사선은 마지막 과정이 되어야 한다.
산소치료의 실시
수액 카테타를 장착
수액 공급한다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투여 dexamethasone sodium phosphate. PDS
기관 확장제의 투여 aminophylline, theophylline, epinephrine, terbutaline, albuteral, isoproterenol
항생제의 투여는 배양과 감수성 검사에 따라 결정되나 진단이 되며 초기 관리 시에 추천된다. amoxicillin, enrofloxacin, trimethoprim-sulfadiazine
atropine은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기관지 확장을 빠르게 유발한다. 급성 천식발작에서 심한 기관지 연축에 안정을 주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점액섬모청소 역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복 사용해서는 안된다.
cyproheptadine 12시간 간격으로 po적용은 실험적이지만 몇몇 환자에서는 효과적이다.
흉막삼출
진단
병력-환자는 자주 급성 호흡곤란을 보이며 운동 시 더 악화된다. 보호자는 침울과 체중저하, 식욕부진, 기침, 창백한 구강점막을 관찰할 수 있다
신체검사-호흡, 좌위호흡, 청색증, 개구 호흡을 보인다. 호흡운동은 짧으며 삼키듯이 하고 빠르다. 환자는 매우 고통스러워한다. 청진 시 심장, 폐음이 사라지며 심잡음이 들린다. 복수와 복부 팽대, 목정맥의 맥박이 관찰된다. 환자는 열이 있을 수 있다. 흉막삼출이 있는 고양이에서는 흉부의 전반부에서 손으로 압박하기가 어렵다.
흉부 방사선-만약 심한 삼출이 의심된다면 초회 흉강천자 시행 없이 방사선촬영을 해서는 안된다.
외측과 동배사진 단지 소량의 삼출물이 나타나고 환자가 곤란함을 느끼지 않는다면 등배 자세는 추천되지 않는다.
외측과 등배사진은 심각한 경우 심장 실루엣의 소실을 보이며 폐엽 주위의 액체 반응, 둥근 폐엽 마진, 흉막 간열선, 흉벽으로부터 페엽의 수축, 갈비 가로막의 손실을 보인다. 심장 거대, 허파 내 종괴 또는 침윤, 횡격막 허니아, 폐엽 염전, 세로 칸막 종괴, 동시에 생긴 복수를 포함하는 다른 병변을 볼 수 있다. 피하 기종이나 척추, 갈비뼈, 흉골의 골절은 외상을 입은 환자에게 관찰된다.
흉부 방사선으로 관의 위치를 점검한다.
가슴창냄관을 늑골 근육과 피부에 봉합한다
설치한 부분 주위의 피부에 purse-string suture를 실시하고 chinese finger-lock 봉합을 추가적인 안정을 위하여 가슴창냄관 주위에 실시한다.
가슴창냄관을 정렬하여 밸브와 연결부에서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한다. 처치 부주의에 따른 기흉을 주의한다. 환자에 의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에 관을 고정해야 한다.
항생제 연고를 주위에 도포하여 피부 창을 폐쇄하고 붕대로 감싼다.
혈흉을 가진 환자는 일반적으로 쇽에 대한 수액공급
수혈이 필요할 수도 있다
탐색적 개흉술이 지시되며 특히 외상 환자에서 추천된다
만약 외상에 대한 병력이 없다면 흉부방사선 촬영과 수술 전에 초음파를 실시해야 한다.
살서제와 같은 항응고제에 노출되어 있다면 신선한 또는 냉동 혈장과 vitamin K를 공급하여야 한다.
흉강내압의 증가는 혈액손실의 비율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흉강천자를 삼간다.
농흉 환자는 따뜻한 0.9% NaCl, LRS, Normosol-R로 주의 깊에 흉강 세척
가능한 한 흉강으로부터 많은 양의 수액을 흡인한다.
리터당 1500 unit heparin과 Normosol-R, LRS, 0.9% NaCl을 넣는다.
10ml/kg의 세척액을 가슴창냄관을 통하여 느리게 넣는다. 환자의 호흡곤란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세척액을 흉강에 넣고 30분 후에 흉강 내 액체를 주사기를 이용하든지 흡인기를 이용하여 배출시킨다.
시술은 멸균상태에서 하며 모든 연결부를 주의 깊게 다루어야 한다.
삼출액이 투명하고 현미경상에서 세균이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2-3번 세척한다.
종양 특히 유선과 림프선의 종양을 검진하여야 한다.
만약 환자가 쇽 상태라면 glucocorticoid를 투여하여야 한다.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혈성 위장염 / 결장염 (0) | 2022.09.29 |
---|---|
횡격막 탈장/ 기흉 (0) | 2022.09.27 |
반려동물의 교통사고 (0) | 2022.09.27 |
기관 허탈 / 초콜릿 중독 (0) | 2022.09.27 |
급성 개 바이러스성 위장염 (0)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