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의학/응급수의학

급성 개 바이러스성 위장염

by 청개구리수의사 2022. 9. 26.
반응형

진단

병력-환자는 구토 또는 설사식욕부진기면이물질 섭취아무거나 먹었거나백신을 제대로 하지 않고 아픈 개나 여러 마리의 개에 노출되었거나복통과 이전에 아팠던 병력이 있을지도 모른다.

개 파보바이러스로 인한 위장염은 강아지에서 중병을 일으키는 가장 흔하고 심각한 바이러스성 장염이다많은 여러 질병이 임상적으로 파보바이러스와 유사한 급성 위장염을 일으킨다개 파보바이러스의 잠복기는 2-14일로서 흔히 노출 후 4-7일에 임상증상이 나타난다개 파보바이러스는 생후 6 주령에서 6개월령의 강아지에서 가장 흔히 발견된다위험도가 더 높은 품종으로는 로뜨와일러도베르만 피셔래브라도어 리트리버핏불테리어저먼 셰퍼드, 요크셔 테리어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감염 후 2주 정도 되어서 분변으로 바이러스 배출이 이루어지지만, 1년 동안 지속되는 경우는 드물다정상적으로회복된 개는 몇 달을 함께 생활해도 감수성 있는 사육 무리에 질병을 전파시키지 않는다무증상 감염은 질병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상태가 호전되면개 파보바이러스는 분변으로 오염되어 5개월이나 그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신체검사-환자는 구토설사를 나타낼 수 있다대기실이나 실험실에서 구토나 설사를 할 수도 있다환자는 체온상승탈수를 보이고 복부 촉진 시 복통을 나타낼 수 있다환자가 너무 작다면직장검사를 위해 직장 온도계를 사용하고분변 양상과 경도성분을 검사한다직장 검사로 점성수양성혈액을 띠는 설사를 관찰할 수 있다.

환자는 다양한 정도의 침울저혈량성 쇽을 보일 수 있다위장관 내용물을 따라 세균이 이동함으로써 2차적으로 패혈성 쇽과 전신성 염증반응(SIRS)이 나타날 수 있다.

실험실 평가-처음에는 위독한 환자에 대해 PCV, TS, dipstick BUN, dipstick glucose를 포함한 최소한의 자료를 가지게 되지만 시간이 되면 아래와 같은 더 많은 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해질 검사-종종 칼륨이 매우 낮다

혈액가스-환자는 다양한 산-염기 장애를 보인다

CBC 감별 계산으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일시적인 림프구 감소증을 확인

병이 심할 경우 호중구 감소와 범백혈구 감소가 나타난다장의 기생충이나 얼리키아증 같은 리케치아 질병을 동반하여 2차적으로 빈혈이 일어날 수 있다.

ALT, 알부민, BUN, creatine, amylase, lipase를 포함한 혈액 화학 검사

elisa와 같은 개 파보바이러스 분변 항원 검사를 실시한다혈변에 중성화된 항체가 나옴으로써 위음성이 나올 수 있다파보바이러스 백신 후에 백신 바이러스가 분변으로 배설되므로 위양성도 잠깐 나타날 수 있다. PCR로 백신 바이러스와 구별할 수 있다윈한다면 표준실험실에 의뢰하여 개 파보바이러스 혈청으로 항체 HI실험을 의뢰하여 elisa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IgM이 높게 나타나고 IgG가 낮게 음성으로 나타나는 것은 혈변을 나타내는 개의 급성 파보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특수 elisa와 샌드위치 elisa가 HI보다 cpv의 특이 항체를 찾아내는데 더 민감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분변검사

요 분석

응고 분석(필요한 경우)

복부 방사선-덩어리가 촉진되면장중첩, 심한 복통, 가스로 인해 국소적으로 확장된 장 만곡이물질 섭취 등이 의심된다가스와 액체가 장 만곡에 차 있는 소견은 개 파보바이러스에 감염된 강아지에서 관찰할 수 있다.

복부초음파-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지만복부의 유리 액체나 덩어리가 발견될 경우 유용할 수 있다.

감별진단

장내 기생충위장관의 이물질식이성 무분별살모넬라증클로스트리듐 감염췌장염원충 감염리케치아 질병바이러스성 질병(코로나바이러스홍역 등), 중독

예후

원인과 질병의 지속기간에 따라 다양하다

치료

보호자에게 진단예후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보호자에게 적절한 교육을 위한 인쇄물을 준다

환자를 다른 환자와 격리하고 병원에서 바이러스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엄격한 위생상태를 유지한다오염된 모든 부분을 30배 희석한 표백제 또는 살균(바이러스를 죽이는세제를 사용하여 닦도록 한다.

치료 전 혈액을 채취한다

탈수 정도를 평가한다.

심한 탈수:10-20% 환자는 보통 침울해지고 저혈량 쇽을 보인다

중간 정도의 탈수:7-10% 환자는 보통 눈이 움푹 들어가고 피부가 처지고 모세혈관 보충시간이 느려진다(1.5초 이상)

경도의 탈수:5-7% 환자는 건조하고 점성 있는 점막을 가지고 있다.

가능한 가장 큰 직경의 정맥 카테터를 사용하여 울혈과 장기의 국소빈혈을 방지하기 위해 수액요법으로서 LRS, plasmalyte 또는 Normosol-R 같은 평형 전해질을 다량 투여한다.

환자가 심각한 저혈량성 쇽에 빠졌다면 7.5% NaCl을 2-5분 이상 4-5ml/kg로 IV 한다.

항생제를 투여한다. ampicillin, cefoxitin, tricacillin-clavulonate, trimethoprim과 sulfadiazine, enrofloxacin

패혈증 또는 장독혈증 (발열, 빈맥, 탁하거나 충혈된 점막, 위장관 경계의 붕괴)의 초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서는 처음에 정맥주사로 투여한 다음, 스테로이드제를 정맥 투여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환자가 과도한 구토나 구역질을 반복하면, 장중첩을 확인하기 위해 복부 촉진을 포함한 신체검사를 반복한다. 체액이 보충되면 제토제 투여를 고려한다.

토혈이나 구역질이 일어나면 다음을 투여한다. famotidine, ranitidine, cimetidine

복통이 있는 경우 이를 경감시키기 위해 약제를 투여하고, butophanol도 구토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응형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혈성 위장염 / 결장염  (0) 2022.09.29
횡격막 탈장/ 기흉  (0) 2022.09.27
반려동물의 교통사고  (0) 2022.09.27
기관 허탈 / 초콜릿 중독  (0) 2022.09.27
고양이 천식/ 흉막삼출  (0) 2022.09.2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