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인론
재생성 빈혈-처음 48-96시간의 급성 실혈(외상), 파종성혈관내응고파종 성혈 관내 응고(DIC), 만성 실혈 [구충, 암캐에서 태반 부위의 퇴축 불완전, 출혈을 보이는 면역 매개 혈소판 감소증(immune-mediated thrombocytopenia), 진드기 감염, 용혈성 질환(IMHA or IHA), pyruvate kinase deficiency, phosphofructokinase deficiency, hemobartonellosis, 바베시아증, 얼리키아증, 심장사상충, 렙토스피라병, 저 인산 혈증, 양파, 예방접종, 비타민K, 설파 항생제, 항경련제, phenothiazines, penicillins, 아연과 납 중독]
비재생성 빈혈-처음 48-96시간 이후로 지속되는 급성 실혈, 영양결핍, 철결핍, 종양, 이온화 방사선, 골수 황폐증 myelophthesis, 골수형성 이상 증후군, 골 섬유증, 골 경화증, 골 화석증, 만성 질환, 신장 질환, 부신피질 기능 저하증, 갑상샘 기능 저하증, 리슈만편모충증, 약물성(vincristine, estrogens, chloramphenicol, phenylbutazone)
진단
병력-식욕부진, 이식증, 졸음, 허약, 운동 불내성, 체중감소, 실신, 또는 허탈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기생충, 외상, 독소, 발열 또는 다른 질병 경력을 가질 수 있다. 최근에 처방받은 약물과 투약 중인 약물, 예방접종 여부, 최근 질환 또는 수술 경력을 문진 한다. 동배 새끼, 부모, 또는 가족 중에 혈액성 질환이 있는지 문진 한다. 환자의 최근 식이와 영양 상태를 문진 한다. 최근에 실혈, 혈뇨, 흑색변, 혈변 배설, 코피 또는 객혈이 있었는지 문진 한다.
신체검사-환자는 창백, 황달, 반상출혈, 또는 점상 출혈과 저체온증을 보일 수 있다. 허약, 호흡곤란, 다호흡, 빈맥, 두근거리는 맥박, grade 1/2의 수축기 심잡음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촉진 시 림프절병증, 간비대, 비장비대가 관찰되기도 한다. 환자는 또한 체중감소, cachexia, 출혈 또는 외상의 흔적, 진드기 또는 벼룩의 존재가 확인되기도 한다.
실험실 평가
채혈 용기 또는 현미경 슬라이드 글라스에 자가 응집이 생기는지 검사한다.
전혈 검사
PCV 18% 이하는 중증빈혈, 18-29%는 중등도의 빈혈을, 30-36%는 경도의 빈혈을 의미한다. 재생 빈혈은 보통 대 적혈구성 저색소 적혈구 지표를 나타낸다. 망상적혈구 수는 정상 개에서 0-1% 또는 0-60,000/마이크로리터이다. 60,000 이상의 망상 적혈구 수는 일반적으로 재생 빈혈을 나타낸다. 망상적혈구 지표(reticulocyte index)가 2.5 이상은 재생성 빈혈을 의미한다. 용혈성 빈혈 환자는 종종 아주 강한 또는 중등도의 재생성 빈혈을 의미한다. 용혈성 빈혈 환자는 종종 아주 강한 또는 중등도의 재생 반응을 보이며, 핵 좌방 이동을 보이는 호중구 증가증과 단핵구 증가증이 특징인 백혈구 증가증을 보인다.
혈액 도말 검사 평가
현미경 1000배 시야에서 10-12개의 혈소판이 관찰되어야 한다. 1000배 시야에서 3-4개 미만의 혈소판은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혈소판 감소증을 의미한다. 유핵 적혈구의 증가가 관찰되기도 한다. 적혈구 모양을 평가하고, 구상 적혈구증, 다색소 적혈구, 분열 적혈구 증가증이 관찰되는지 검사한다. 세포 내 기생충이 있는지 검사한다.
Direct Coomb's test-면역 매개 용혈성 빈혈 개에서 10-30%는 음성 결과가 나올 수 있다.
혈청 또는 혈장 단백질 농도를 측정한다. 실혈은 일반적으로 저단백혈증을 일으키지만 용혈은 저단백혈증이 발생하지 않는다.
혈청화학검사를 실시한다.
자주 발생하는 지방병에 대한 전염성 질환 항체가를 검사한다.
출혈 이상의 증상이 있다면, 응고인자 검사를 실시한다.
활성 응고 시간 ACT 내재성 경로와 공통 경로 응고계를 평가하며, 실험실 내에서 평가할 수 있다. 개에서 정상은 60-110초이다.
프로트롬빈 시간 PT 외재성 경로와 공통 경로 응고계를 평가한다.
부분 트롬빈 시간 PTT 내재성 및 공통 경로를 평가한다
섬유 소원 분해산물 FDP 수치 상승은 미만성 응고 또는 간에서의 제거 지연을 의미한다.
D-dimers 상승은 파종성혈관내응고와 주요 혈관의 혈전증에 대해 진단적일 수 있다.
von Willebrand 질병 등 검사를 위해 혈장을 분리하여 동결시킨다.
요 검사와 분변 검사를 실시한다.
방사선-흉부 및 복부 방사선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종괴 또는 기관의 종대가 있는지 살펴본다. 심낭 삼출액, 흉수 또는 복수와 같은 내부 출혈 흔적이 관찰되기도 한다.
초음파-방사선 검사에서 확인되는 비정상 부분에 대해서 초음파 검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초음파 유도 생검은 응고계 평가가 끝난 이후에 실시한다.
예후
예후는 원발 원인에 따라 다르다.
치료
보호자에게 진단, 예후, 치료비용에 대하여 알린다.
정맥 내 카테터를 장착한다.
검사용 혈액을 채혈한다.
명확한 진단은 유보한 채, 환자를 대증적/보조적으로 치료한다.
지속되는 출혈 부위를 찾아 지혈시킨다.
혈액량 감소 쇽 또는 신장 질환 시 정맥 내로 수액을 투여한다.
필요에 따라 구충제를 사용한다.
진드기 또는 벼룩 구제는 국소 제제를 사용한다.
항응고 살서제 또는 중증 간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면, 비타민K를 투여한다.
위장관 출혈이 있는 경우, H2 blocker와 위 보호제를 투약한다.
Ehrlichiosis이 의심되는 경우, doxycycline 또는 tetracycline을 처방한다.
평형 전해질 정수액을 유지용량으로 IV 투여한다.
산소를 공급하고 환자가 면역 매개 용혈빈혈 또는 면역 매개 혈소판 감소증 발생 가능성이 있다면, Corticosteroid를 처방한다.
순환기 또는 호흡기 장애를 보이는 환자에서 충전 적혈구 또는 혈색소에 근거한 산소 운반체를 투여한다. 교차반응을 실시한 후에 수혈을 실시한다.
수혈 시작 20분 전, diphenhydramine HCL 또는 diazepam으로 전처치 한다.
혈액 필터를 사용하여, 전혈 또는 적혈구 수혈 중에는 수혈 전용 정맥 카테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0.9% 식염수를 제외한 모든 수액을 중지시킨다.
수혈 후 1, 24, 72 시간마다 PCV/TS를 연속적으로 측정한다.
'수의학 > 응급수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혈성 쇽과 진신성 염증반응 증후군 (0) | 2022.10.09 |
---|---|
고양이의 빈혈 (0) | 2022.10.08 |
강아지가 설사할 때 감별진단 (0) | 2022.10.05 |
반려동물의 구토 (0) | 2022.10.04 |
비심장성 폐수종 (0) | 2022.10.03 |
댓글